하루하루 프로그래밍/하루하루 프로그래밍 시즌 2
하루하루 프로그래밍 13화
양사
2018. 4. 25. 08:10
더러운 프로그램 소스 Top 3
Top 3 난잡한 소스
자신만 알아보면 된다는 아주 어리석은 심보로, 그냥 멋있어 보인다는 이유만으로 소스를 일부러 난잡하게 쓰는 경우가 있다.
예시로, html 에서 &npbs;를 여러번 써서 가운데 정렬을 하는 것은 <center>을 쓰는 것으로 대신 할 수 있음에도 멋있어 보인다는 이유로 를 여러번 쓰는 사람이 있었다.
이 사람들에게는 한가지 알아야 할 게 있다. 같은 출력이라도 코드가 한줄이라도 더 적게 들어가는게 진정한 멋이라는 것을.
Top 2 의미없는 변수명
간혹 변수명을 a, b, c, d, e, f로 쓰는 사람이 있다. 물론 반목문에서는 i, j, k, l 같은 한글자를 써도 되지만 일번 처리를 위해서는 a, b 같은 코드를 써서는 안 된다.
이는 자신마저도 변수의 기능을 잊어 버려서 결과적으로 에러 발생 시 수정 할 수 없는 원인이 된다.
Top 1 제작자도 못 알아보는 코드
이것은 위의 2개의 연장선이다.
주석이라는 것은 다른 사람이 알아보기 위함도 있지만 에러가 발생했을 때 자신도 알아보기 위함이다.
10줄 이내의 간단한 코드는 자기 자신도 이해 할 수는 있지만 10줄이 넘어가면 쉽게 이해 할 수 없다. 또한, 줄 수와는 관계없이 다음번에 코드를 보면 이게 무슨 코드인지를 알아 볼 수 없다. 이것은 주석이 필요한 이유와 코드를 난잡하지 않게, 변수를 의미있는 이름을 지어야 하는 이유 등을 보여준다.
Top 3 난잡한 소스
자신만 알아보면 된다는 아주 어리석은 심보로, 그냥 멋있어 보인다는 이유만으로 소스를 일부러 난잡하게 쓰는 경우가 있다.
예시로, html 에서 &npbs;를 여러번 써서 가운데 정렬을 하는 것은 <center>을 쓰는 것으로 대신 할 수 있음에도 멋있어 보인다는 이유로 를 여러번 쓰는 사람이 있었다.
이 사람들에게는 한가지 알아야 할 게 있다. 같은 출력이라도 코드가 한줄이라도 더 적게 들어가는게 진정한 멋이라는 것을.
Top 2 의미없는 변수명
간혹 변수명을 a, b, c, d, e, f로 쓰는 사람이 있다. 물론 반목문에서는 i, j, k, l 같은 한글자를 써도 되지만 일번 처리를 위해서는 a, b 같은 코드를 써서는 안 된다.
이는 자신마저도 변수의 기능을 잊어 버려서 결과적으로 에러 발생 시 수정 할 수 없는 원인이 된다.
Top 1 제작자도 못 알아보는 코드
이것은 위의 2개의 연장선이다.
주석이라는 것은 다른 사람이 알아보기 위함도 있지만 에러가 발생했을 때 자신도 알아보기 위함이다.
10줄 이내의 간단한 코드는 자기 자신도 이해 할 수는 있지만 10줄이 넘어가면 쉽게 이해 할 수 없다. 또한, 줄 수와는 관계없이 다음번에 코드를 보면 이게 무슨 코드인지를 알아 볼 수 없다. 이것은 주석이 필요한 이유와 코드를 난잡하지 않게, 변수를 의미있는 이름을 지어야 하는 이유 등을 보여준다.